서비스 소개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

매출 증대

시제품 제작

투자·고용 확대

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 발생

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 발생 그래프

과제 수행을 통해 양산 준비 단계에 있는 기업이 57.6%,
제품 출시 단계에 돌입한 기업은 21.2%로,
수혜기업 중 75% 이상이 사업화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4억원

제품 출시를 통해 발생한 평균 매출액은 1.54억원
(16년~20년 사업비 10억원 당 7.03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제품 제작

시제품 제작 그래프

과제 수행을 통해 시제품을 제작한 기업은 87.9%로,
아이디어와 제품 컨셉은 갖고 있지만 상품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소프트파워 기업들의 사업화 촉진에 기여했습니다.

3.1개 제작

시제품 평균

수혜기업은 평균 3.1개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제품 아이디어와 컨셉을 구체화해나갔으며,
향후 사업화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 지원

추가투자 진행 2.35억원
외부 투자 계약 체결 1.40억원
사업 참여 후 신규 고용인력 2.5
투자 확대
  •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 참여 이후 추가투자를 진행한 기업의 비중은 60.6%로 국내 제조산업의 투자 증진에 기여하였습니다.
  •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 참여 이후 본 사업과 관련하여 발생한 평균 추가투자액은 2.35억원이며, 이 중 외부 투자금액은 1.40억 원으로 나타나,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이 향후 자금조달 및 지속적인 투자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 창출
  •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 참여 후 신규 고용한 누적 인력은 평균 2.5명으로 나타났습니다.
  • 지원금액 1억 원 당 신규 고용 인원은 1.95명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R&D 지원금 1억원 당 고용창출 효과가 0.93명 수준인 것을 감안했을 때, 고용창출 수준이 높은편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중소기업 R&D 지원 확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와 과제(2017), 과학기술정책연구원